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적률도 모르면 부동산 하지 마라. 아파트 매물을 검색할 때 가장 많이 보이는 단어가 '공급면적/전용면적'입니다. 부린이시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단어인데요. 내가 구할 집의 크기를 말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매물을 볼 때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면적에 관한 모든 것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보았으니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전용면적 집 안에 방, 거실, 주방, 화장실처럼 거주자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공급면적 전용면적에 주거공용면적(계단, 복도, 엘리베이터등)을 합한 면적을 말합니다. 흔히 말하는 25평, 24평은 공급면적을 말합니다. 따라서 집이 넓고 좁은 것은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비율(전용률)을 어떻게 했는지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서비스면적 발코니, 베란다 등 말 그대로 서비스로.. 더보기 집 살 때 내는 취득세, 법무사 비용 우리가 살면서 물건을 구입할 때 세금이 붙듯이 부동산을 구입할 때도 내야 하는 세금이 있습니다. 거래하는 금액이 크다 보니 세금의 액수도 적지 않습니다. 무주택자이거나 1 주택자인 경우는 금액이 크지는 않지만 그 외의 경우는 세금액도 크니 미리 알고 있어야 허투루 새는 돈을 막을 수 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취득세란? 부동산을 취득했을 때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지방세입니다. 6억원이하 1%, 6억 원 초과~9억 원 이하 1~3%, 9억 원 초과 3% 취득세 납부시기는 잔금일 기준 60일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합니다. 60일 이내에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20%), 부정무신고가산세(40%), 납부 지연 가산세가 부과되니 주의하세요! 지방교육세란? 지방교육의 질적 향상에 필요한 지방 교.. 더보기 집 계약할 때 사기 피하는 확실한 방법 시간과 노력을 들여 힘들게 맘에 드는 집을 골랐어도 계약을 할 때 혹시 사기를 당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나의 전 재산을 사기를 당해서 잃지는 않을까 불안합니다. 한 두번 본 중개인을 믿을 수도 없습니다. 오늘 제가 정리해 드린 글만 끝까지 읽으신다면 사기는 막을 수 있습니다. 1. 등기부등본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의 이력서'로써 부동산에 관련된 권리를 확인하는 서류입니다. 등기부등본은 대법원 에서 확인할 수 있고 '갑구'와 '을구'라고 쓰여있는 서류만 확인하면 됩니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www.iros.go.kr 1) 갑구 「소유권에 대한 사항」 '등기목적란'에 가압류, 가처분, 가등기, 압류, 경매개시 결정이라는 글자만 없으면 됩니다. ① 가압류 - 집주인이 빚을 지어서 재산을 숨기거나 팔아버.. 더보기 부동산 호재 중 하나 공공주택지구 부동산공부를 조금만 하다 보면 자주보이는 단어가 00 지구, 개발사업, 공공주택단지등이 보입니다. 그리고 이런 단어의 기사도 많이 보이고 사람들의 관심도도 높습니다. 사람들이 좋다니까 좋아하기에는 뭔가 찜찜해서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았습니다. 단어가 어려워 저도 반복해서 읽어보고 단어의 뜻도 찾아서 최대한 쉽게 풀어보고 호재로 불리는 공공주택지구를 찾는 방법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공주택지구란? 공공주택은 공공이 짓는 중소형분양주택과 임대주택(빌려주는 주택)을 포괄하는 주택입니다. 공공주택지구란 공공주택의 공급을 위하여 공공주택이 전체 주택 중 50/100 이상이 되도록 에 따라 지정·고시하는 지구를 말합니다. 국토교통부장관은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하거나 지.. 더보기 부동산 호재 지역 찾는 가장 쉬운 방법 부동산에 관심이 있든 없든 호재지역에는 귀가 쫑긋 해지실 거예요 혹시 내가 호재지역에 들어가서 살다가 큰돈을 벌 수 있을지 않을까란 기대심리 때문일 텐데요 다른 사람들이 다 알고 있는 호재 지역 말고도 수시로 호재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주 쉽게 정리해 놓았으니 끝까지 따라 해 보시고 좋은 정보 얻으시길 바라봅니다. 1. 먼저 에 들어가서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 주세요 2. 원하는 지역을 클릭하고 가장 우측 화면을 보시면 기다란 막대기 꼭대기에 이 보이실 거예요 3. 을 클릭하고 철도, 지하철· 도로 · 개발지역 중 관심 있는 분야를 눌러보세요 저는 철도, 지하철을 클릭해 보면 아래같이 화면에 뜹니다. 4. 버튼을 껐다 켰다 해보면서 현재 지역의 모습과 미래 지역의 모습을..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